Life Science TMI

[분자 생물학] Vector Component - 2A

이이이여여엉엉차아 2023. 12. 29. 15:4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Vector Component 중 2A 입니다.

 

2A라고 하면 뭔가 감이 잘 안오죠 ??

 

이 친구들은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와 비슷하게 하나의 Vector에서 2개의 단백을 발현시키게 해주는 Element입니다.

 

2A는 IRES보다 조금 더 발전된 형태의 Element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IRES는 하나의 Vector에서 2 개의 단백을 발현시키지만 두 개의 발현이 약간 다르다는 점이 있습니다.

 

IRES의 경우 Downstream 쪽의 발현이 약하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2A의 경우 발현량이 거의 동일하게 맞춰집니다.

 

2A의 원리는 지금까지는 확실하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아마도 Ribosome에서의 peptide bond skipping 또는 proteolytic cleavage로 생각이 됩니다만 사실 후자의 경우는 self로 일어나기 어렵고 enzyme이 존재해야만합니다. 하지만 아직 발견된 enzyme은 없죠.

 

2A peptide는 최초로 picornavirus에서 발견되었습니다.

 

2A peptide는 20 개 정도의 Amino acid sequence를 가집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2A는 4가지로 T2A, P2A, E2A, F2A 입니다. (2A motif :  DxExNPGP)

출처 : addgene (https://blog.addgene.org/plasmids-101-multicistronic-vectors)

 

괄호의 GSG는 2A sequence의 cleavage가 더 잘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high efficiency for cleavage)

 

2A sequence를 기준으로 앞뒤 2개의 gene이 발현이 되는데요,  2A peptide가 cleavage되는 site는 2A 끝쪽의 PG / P 가 cleavage site입니다.

 

예를 들면 T2A가 사용되었다면 Upstream 쪽의 Protein sequence는 C-terminal 쪽에 2A sequence 중 (GSG) EGRGSLLTCGDVEENPG까지 peptide sequence가 추가됩니다.

 

그리고 Downstream 쪽 protein의 N-term 첫번째는 P가 하나 붙게됩니다.

 

어떤 target을 두고 mechanism study하냐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C-terminal에 중요한 domain, motif가 있다면 2A peptide 사용을 하기 힘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IRES보다 발전된 2A peptide!!

 

잘 보고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